본문 바로가기

싱싱정보통/효능

우렁이 효능 부작용 요리법 간단 정리

"우렁이 효능과 먹는 방법"


된장찌개의 찰떡궁합으로 오랜 세월 한국인의

 건강한 식탁을 책임졌던 우렁이


한동안 농약 사용과 환경오염 등으로 

우렁이 서식지들이 오염되어 전처럼 논이나 

못에 서식하는 우렁이가 사라지기 시작했고 

식탁에서 자취를 감춤뻔 했었는데요.



하지만 최근에 다시 우렁이 양식장들과

유기농법이 확산되면서 마트나 시장 등에서 쉽게

구할 수 있게 되어 다시 우렁이를 식탁에서

 만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된장찌개로 또는 새콤 하게

무쳐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우렁이의 효능을 

인터넷 자료와 논문 등의 기록을 바탕으로 

알기 쉽게 간단히 정리해보았습니다.  



1.풍부한 캄슘


농촌진흥청의 연구자료를 살펴보면

우렁이100g당 칼슘이 하루 권장량의 무려 

170%나 되는 1200mg을 함유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이 양은 멸치의 3배,우유의 

12배 정도 많은이라고 합니다.  


또한 우렁이 몸에서 나오는 점액에는 

'콘드로이틴황산'이라는 성분이 있는데 

이 성분은 연골의 조직을 구성하는 

성분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성장기에 있는 아이들의 

뼈 성장에 도움을 주며 나가서는 골다공증

예방과 관절염 예방 등에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2. 황산화 작용


우리 몸은 활성 산소가 높을 수록

노화가 빠르게 진행 된다고 합니다.

 우렁이는 활성 산소를 낮춰 줄 뿐만 아니라

위에 말한 우렁이에 포함된 콘드로이틴황산이라는

성분이 노화 늦춰주는 효능이 있어 

노화 예방에 좋다고 합니다. 


이밖에 간 해독 작용이 있어

숙취 해소에 좋다고 알려져 있으며,

철분이 풍부해 빈혈 예방에 좋다고 합니다.



부작용


이렇게 몸에 좋은 우렁이 부작용을 없을까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를 살펴보면 

우렁이는 맛이 달고 독이 없다고 나와있습니다.  

독성이 없는 우렁이는 아직 보고된 

부작용은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우렁이는 찬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위장이 냉하거나 

허약한 사람이 먹으면 배가아프고 설사를 유발할

수 있이며 기생충이 있어 반드시 열로

조리 해서 먹어야 한다고 합니다. 


몸에 좋은 음식 많이 먹는다고 좋은 것은 아니죠. 

적정량만 드신다면 몸에 이롭게 작용합니다.




# 먹는 방법


보편적으로 가정에서는 된장찌개로

많이 끓여 먹는데. 초 무침이나 전으로 부쳐

 먹어도 맛있습니다.


<쌈도둑 우렁 강된장 만들기>


추천.

자글자글 우렁이 강된장 

새콤달콤 우렁이 야채 초무침

막걸리엔 우렁이 야채전

구수한 우렁이 된장국


이상 우렁이의 효능과 먹는 방법 알아봤는데요 

도움이 되셨나요?